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아이 명의 통장 개설 방법(자녀 명의 통장 개설 필요서류? 증여세 줄이기?)

by keepgoingkeepthinking 2022. 2. 15.
728x90

 

아이 명절 용돈 어떻게 저축할까?
10년간 2천만원 한도 내에서 자녀 명의로 취득한 주식으로 얻은 차익에 대해서는 과세하지 않는다.

귀차니즘의 표준인 제가 움직이게 된 이유입니다. 자꾸 돈 벌고 돈 모으는 이유 중의 하나가 우리 자식 잘 키우기 위해서일텐데요. 현재 유치원생인 아이들이 10년 뒤, 혹은 20년 뒤에 대학 등록금이나 유학자금 등 목돈이 필요할 때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명절용돈이나 할머니할아버지 용돈을 모아서 주식이나 펀드에 넣어두고 차익까지 생긴다면 정말 뿌듯할 것 같습니다.

 

계좌 개설할 은행 및 증권회사 선택하기

- 키움증권 연계은행에서 계좌 계설한 후 키움증권 온라인으로 회원가입하면, 수수료가 저렴한편이라고 합니다!
- 우체국, 국민은행, 우리은행, 수협, 신협, 기업은행 등 15개 은행에서 계좌 개설이 가능하며, 저는 주거래은행이 농협이라서 농협에서 키움증권계좌를 개설하기로 했습니다.
- 키움증권 사이트에 가면, 은행마다 대리인신청 가능한 경우, 해외주식 가능한 경우가 적혀있으니 꼭 확인바랍니다.

계좌개설 가능은행 및 농협 개설가능내용 설명

 

아이 명의로 주식계좌 개설 준비 서류

- 대리인 신분증(엄마나 아빠 중 1명, 직접 가는 사람의 운전면허증 또는 주민등록증)
- 본인 거래 인감(서명불가, 아이의 도장을 말함)
- 가족관계증명서(자녀기준 상세, 대리인기준 상세, 주민등록번호 뒷번호까지 나오게 하기)
- 기본증명서(자녀기준 상세)
- 자녀명의 OTP 기기 필수 수령(혹시 모를 온라인 출금시 필요)
- 공인인증서로 홈택스 증여신청 해야 하므로 잘 준비해두기
★다 준비 되었다면, 실제로 은행에 가서 계좌 개설 후, 온라인으로 키움증권사 사이트에서 연계하면 됩니다.

 

언제부터(아이 몇살부터) 증여시작해야 가장 유리할까?
구분 증여재산공제(10년단위) 설명
배우자로부터 증여 6억원 남편이나 아내 간의 증여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 5천만원(미성년 2천만원) 내 위쪽으로 부모 또는 조부모, 증조부모(각각 증여아닌 합산)
직계비속으로부터 증여 5천만원 내 아래쪽으로 자녀, 손자 등
이외의 친족으로부터 증여 1천만원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형제, 시동생 등

설날 용돈이나 생일 용돈을 주는 것도 모두 증여입니다. 게다가 증여에는 세금이 붙습니다. 언제부터 증여시작해야 가장 절세할 수 있을까? 표에서 살펴보면, 내가 알아보는 경우 내 자녀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두번째 줄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가 됩니다. 이때 10년단위라는 것은 나이순이 아니라 최초 시작일부터 계산하므로, 가급적 빨리 시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면>>
6살 아이에게 증여한다면,
6세~16세 (6세부터 10년간) 2천만원 무세금증여
16세~26세(16세부터 10년간) 성인된 시점에 증여하면 5천만원까지 무세금증여
26세 이후로도 매번 10년 단위로 증여가능합니다.

- 가장 유리하게 활용하려면 0세 태어난 시점에 2천만원 증여하고 시작하는게 가장 합리적입니다. 이 경우 0세부터 시작해서 30세가 되면 총 1억 4000만원을 세금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 어 나는 돈이 당장 많이 없는데?? 최초 시작 시점이 중요하지 금액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0세 태어난 시점에 다만 10만원이라도 증여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증여한 금액에 세금이 붙는다면 얼마나 붙나?
과세 금액 세율 누진공제
(누진공제란 소득에 따라 세율이 계단식으로 높아지므로, 해당하는 세율을 곱해서 나온 값에서, 낮은 세율 부분 세금에 대해서 공제해 주는 금액을 계산해놓은 부분)
1억원 이하 10% 0
2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20% 1천만원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 30% 5천만원
10억원 초과 ~ 30억원 이하 40% 1억6천만원
30억원 초과 50% 4억6천만원

과세는 계단식입니다. 낮은 단계의 금액부터 세율을 계산해나갑니다. 나름 봐주는 것입니다. 참고자료: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53조 시행 2022.1.1.)

<<예를 들면>>
 성년자 자녀에게 2억을 증여한다면
- (1단계 공제) 2억 중 5,000만원을 일단 공제해서 남은 금액 1억 5천만원.
- (2단계 과세 10%) 그 중 1억원에 대해 10% 먼저 계산해서 1천만원!
- (3단계 과세 20%) 잔액인 5천만원에 대해 20% 계산해서 1천만원!
결국, 총 과세금액은 2천만원이 된다.

 

 

매번 번거롭고 귀찮게 어떻게 증여 신고를 하나?

일회성 증여라면 한번만 증여 신고를 해도 되지만, 만약 목돈이 없고 정기적으로 아이에게 증여할 계획이라면, 유기정기금 증여세 신고를 하면 됩니다. 미리 신청해두면 귀찮게 그때 그때 증여신고를 필요가 없습니다.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맨 윗 줄 신고/납부 버튼을 클릭하면 세금신고 중 증여세 항목이 있습니다.

 

자세한 "국세청홈택스 증여신고방법"에 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홈택스 자녀증여 정기신고 방법(필요서류, 주의사항)

어떻게하면 세금 없이 자녀에게 증여할까? 자동이체, 정기적금 등 증여 신고 방법은? 자녀에게 증여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첫째, 일시적으로 큰 금액 증여하기와 둘째, 자동이체를 통

stop-vel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