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주말, 방학, 일주일 거뜬한 집콕놀이 모음 (미술놀이, 과학놀이)

by keepgoingkeepthinking 2022. 1. 29.
728x90

그들이 온다.

같이 자고 깨고 같이 놀고 먹고

그 다음날도

같이 자고 깨고 같이 놀고 먹고

너무 사랑하는 우리 아이들이지만.

준비없이 시작하기에는

방학은 너무 길다!!!

엄마 시간 순삭! 아이들 시간 순삭!

집콕놀이, 집콕육아 모음!

 

Round 1. 음식으로 놀기

 

 

<<음식으로 얼굴 만들기>>
1. 준비물: 얼굴 부분(식빵이나 모닝빵, 롤빵 등 동그랗고 넓은 모양),
코나 입 부분(초코송이, 빼빼로 등 길쭉한 모양)
눈이나 장식 부분(약과나 미쯔, 앰엔앰, 해바라기씨 등 동그랗거나 작은 모양)

2. 소요시간: 20-30분

3. 책 중에 "PEEk-A-Boo" 책이 있다. 책에서는 스파게티로 얼굴, 볶음밥으로 얼굴, 과자로 얼굴 등 다양한 얼굴이 나오는데, 아이들은 그 중 과자로 얼굴을 만들고 싶다고 해서 시작된 놀이.

4. 원래는 건강을 위해서 포도, 딸기, 사과를 다양한 모양으로 썰어서 줬었다. 재밌게 놀고 과일만 골라 먹음.

----------PEEK-A-BOO 책 내용은 이 포스트를 참조하기 ------------
https://stop-vely.tistory.com/entry/%EB%AA%85%EA%BC%AC-%EB%A7%A4%EC%A7%81%EC%86%A1-%EC%98%81%EC%96%B4%EC%9B%90%EC%84%9C-%EB%8F%99%ED%99%94%EC%B1%85-%EC%B6%94%EC%B2%9C-A-Plate-Plays-Peekaboo

 

명꼬 매직송 영어원서 동화책 추천 A Plate Plays Peekaboo!

아이들과 책을 읽다가 "우리도 해 볼까?" 라고 이야기 나눌 때가 있다. 이 책이 그렇다. 간단하지만 재미있는 삽화가 들어있어서 아이들이 참 좋아하는 책이다. 세이펜도 된다고 적혀있지만, 왜

stop-vely.tistory.com

 

 

<<M&M 색깔놀이>>
1. 준비물: 동그랗고 넓은 접시, M&M 한봉지

2. 소요시간: 5~10분 (짧음)

3. 도화지에 하는 경우도 있는데, 우리 아이들은 초콜렛이라서 먹어야 하는데 어쩌냐고....

4. 저렇게 색소 다 빠지고 나면 검정 초코 덩어리만 남는데, 그거 야무지게 먹으려고 옆에 포크 대기중

5. 그 옆에 찜통은 그냥 애들이 좋아하는 장난감이 들어있는 장난감집......:)




Round 2. 미술 놀이

 

 

<<색깔 종이컵 놀이>>
1. 준비물: 색깔 종이컵, 엄마의 노동력

2. 소요시간: 20~60분 까지 아이가 좋아하는 정도에 따라 다름.

3. 쌓기를 좋아하는 첫째, 부수기를 좋아하는 둘째.

4. 첫째는 색깔까지 맞춰서 쌓는 걸 좋아해서 엄마는 옆에서 사진만 찍어주면 된다.

5. 단, 둘째는 부수는 걸 좋아해서, 엄마가 자꾸 쌓아줘야 하는 단점.

6. 쌓는데 10분, 부수는데 10초.






 

<<물감뿌리기 놀이>>

1. 준비물: 물감, 일회용 스포이드, 약병, 화장솜, 기름종이, 코인티슈, 팔레트나 물통(못쓰는 반찬통 등)

2. 소요시간: 흥미 정도에 따라

3. 물감은 이케아 물감이 아이들도 짜기 좋고 점도도 나쁘지 않은 듯.

4. 일회용 스포이드와 약병은 쿠팡에서 대량 구매해 놓고 그때 그때 쓰고 있다.

5. 코인티슈는 물감을 뿌리면 커져서 아이들이 신기해 한다.

6. 팔레트나 물통은 못쓰는 반찬통이나 딸기 플라스틱통, 햇반통 등이 딱이다.

7. 식탁 상판이 물감도 잘 닦이는 상판이라서 딱히 뭐 깔고 하지는 않는데, 바닥이나 다른 곳에서 하려면 대형비닐(음식점 식탁용)도 쿠팡에서 구매하면 좋다.

8. 처음에는 화장솜이랑 약병만 주고, 한 5-10분정도면 흥미가 떨어진다. 그때쯤 코인티슈와 스포이드를 꺼내면 활동 시간이 길어진다.




<<물감색칠하기 놀이>>

1. 준비물: 물감, 흰 종이, 마스킹테이프, 붓, 아무튼 색칠할 수 있는 물건

2. 소요시간: 흥미 정도에 따라

3. 소재가 새로우면 훨씬 집중하고 놀이시간도 길어진다.

4. 흰 종이에 색칠하면 10분 남짓이면 끝나지만, 욕실 벽에 마스킹테이프를 붙이고 그 사이를 색칠하도록 하면, 공간도 넓고 재미있어서 30분은 훌쩍 넘긴다.

5. 욕조에서 하는 미술놀이는 청소도 아이들이 스스로 즐겁게 할 수 있어서 훨씬 간편하다.

6. 청소에는 항상 이름을 멋지게 붙여줘야 한다. "소방차 물감 불끄기! 시작!" 하고 샤워기 손에 쥐어주면 티끌하나 남기지 않고 깨끗이 청소해둔다.





Round 3. 과학 놀이

 

 

<<물과 기름은 섞일 수 없는 사이 실험>>

1. 준비물: 식용유 등 기름, 물 조금, 투명컵, 쟁반 등 큰 그릇, 물감, 미니약병

2. 소요시간: 15분 정도

3. 다듀의 물과 기름처럼 섞일 수 없는 운명 노래를 흥얼거리며 신명나게 준비한다.

4. 생각보다 기름이 많이 들어간다. 우리집에서 가장 작고 투명한 그릇을 찾자.

5. 작은 공처럼 방울지며 물감이 동동 떠서 내려가는 모습이 재미있다.

*** 말해줘도 애들은 관심 없지만 엄마가 알고 있으면 말해주고 싶은 과학 원리 ***

왜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을까?

1. 물(H2O)은 극성분자, 기름(CO2)은 무극성분자이다. 극성분자는 분자구조상 극성(+,-)을 가진 분자이고, 무극성분자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기적 극성을 가지지 않는다.

2. 밀도차에 의해 분리된다. 밀도란 한 공간이나 면적에서 무엇이 들어 있는 정도를 뜻하며, 기름보다 물이 밀도가 커서 물이 기름위에 뜬다.

더궁금하면 여기
https://m.blog.naver.com/krictblog/221688403462
 

누가 더 잘 잡아당기나? 원자들의 힘겨루기: 극성과 무극성

KRICT Life 누가 더 잘 잡아당기나? 원자들의 힘겨루기: 극성과 무극성 학교에서 친구들과 이야기하...

blog.naver.com












<< 코끼리치약 실험, 화산폭발실험 >>

1. 준비물: 산성 물질(구연산 또는 식초), 염기성물질(과탄산소다 또는 베이킹소다), 따뜻한 물, 물감, 페트병, 스포이드

2. 소요시간: 30분 정도

3. 따뜻한 물이 중요하다. 물의 온도가 뜨거울 수록 반응이 잘 일어난다. 단, 위험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온도로 하며 엄마가 도와준다.

4. 병의 모양도 중요하다. 병의 폭이 좁고 입구가 작을 수록 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난다.

5. 병이 적당히 넓고 입구도 좁지 않으면 병에 과탄산소다와 베이킹소다를 잘 섞어 넣어두고, 아이가 스스로 스포이드로 따뜻한 물을 넣는 방법도 재미있다.

6. 어떤 물질을 선택하든 냄새가 난다. 구연산과 과탄산소다가 반응하면서 냄새가 발생하는데, 가급적 환기가 잘 되는 공간에서 실험을 실시한다.

*** 말해줘도 애들은 관심 없지만 엄마가 알고 있으면 말해주고 싶은 과학 원리 ***

왜 거품이 발생할까?

산과 염기가 반응하면 물과 이산화탄소를 내뿜게 되는데, 이떄 이산화탄소가 거품이 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 베스킨라빈스 먹고나면 드라이아이스로 이산화탄소 방울 만들기 놀이 >>

1. 준비물: 드라이아이스, 일회용 컵, 플라스틱 호스, 털장갑, 수건, 주방세제랑 물 섞어둔 것

2. 소요시간: 20분 정도

3. 일회용컵에 물을 1/4정도 담고 드라이아이스조각을 담는다.

4. 빨대 넣는 구멍에 플라스틱 호스를 넣어 테이프로 구멍 없이 잘 막는다.

5. 미리 준비해둔 주방세제랑 물 섞어둔 것에 호스 끝을 갖다 댄 후 들어올리면 기화한 이산화탄소가 방울을 만든다.

6. 장갑낀 손 위에 올리면 구슬처럼 잠시간 손 위에 머무른다.

7. 베스킨라빈스를 먹으면 꼭 드라이아이스로 놀아야 한다. 쿠팡신선배달도 가끔 가능하다.

8. 맨손에는 수분과 기름이 많기 때문에 세제 속 계면활성제가 쉽게 흐트러지고 잘 터지므로 장갑을 끼는 것이 좋다.

9. 어쨌든 이산화탄소이니 가급적 연기를 들이마시거나 밀폐된 공간에서 실험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10. 둘째 표정이 찐이다. 진짜 좋아한다.


*** 말해줘도 애들은 관심 없지만 엄마가 알고 있으면 말해주고 싶은 과학 원리 ***

드라이아이스가 뭐지?

드라이아이스는 고체상태로 얼려놓은 이산화탄소이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에서 액체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상태로 되는데, 이때 방울로 막을 싸면 잠시간 그 안에 머물러 있는다.

왜 방울이 안터지지? 드라이아이스의 온도는 대략 -70도 전후인데, 방울은 온도가 낮으면 잘 터지지 않는다. 그래서 오랫동안 모양을 유지하는 것이다.





한 번 실험해서는 아이들이 원리를 궁금해하지 않는다. 엄마가 자주 할 수 있는 소소한 실험을 소소한 준비물로 자주자주 반복하면 언젠가는 묻는다. 그때 과학 상식을 뽐내주어 미래의 과학을 사랑하는 시민을 길러낸다. 과학자가 되면 더 뿌듯하고.ㅎㅎㅎ


















728x90
반응형

댓글